본문 바로가기

고교학점제에 관한 통시적인 접근 더보기
고교학점제도에 대한 논쟁에서 결락된 그러나 채워져야 할 질문들 고교학점제도에 대한 논쟁에서 결락된 그러나 채워져야 할 질문들 Ⅰ. 전제로서 가정하는 대안 모델 ★ 대안적 모델 : 오연호(오마이뉴스 대표)의 대안을 찾아서 – 덴마크 교육 현장에 대한 10년간의 취재. 1) - 헤닝 아프셀리우스(고등학교 뇌레 김나시움에서 수학, 물리학, 천문학을 가르침, 45세, 15년차) 아프셀리우스는 학기 초에 진도를 나가지 않는다. 어떤 숙제도 내지 않는다. 왜 수학을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교실의 모든 학생들이 저마다 충분한 이유를 갖지 전까지 수학을 가르치지 않는다. 아프셀리우스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 힘을 쏟는다. 2) . Ⅱ. 제기되어야할 문제들 1. 관료제도 주도성이라는 교육개혁(악) 정책추진 패턴의 문제점 1) 패턴 :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연구용역.. 더보기
사랑과 충조평판(충고하고-조언하고-평가하고-판단하고) 금지라는 학생지도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2021-04-06 세미나 자료 사랑은 하나가 되는 것인가? (헤겔 vs 바디우) --- 하나가 아니라 차이나는 타자로서 둘이라는 관계를, 우연한 타자와 어떤 우발적인 관계를 끈덕지게 버텨내는 충실성. Ⅰ. 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 1. 사르트르 “사랑에 빠진 자는 다른 일체의 외적인 압력 없이 자유롭게 자신을 사랑하기를 바란다(강신주의 사르트르 서술 재인용)’. 이런 논리는 인간이 각종 사회적 환경 속에서 존재한다는 기본 전제를 망각하기 때문에 허구이다. 개별적 인간들은 그가 속한 역사적-사회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아무런 외적 압력 없이’라는 전제는 오류이기 때문에 전체진술이 오류이다. 사르트르의 이런 서술은 자유롭고 평등한 주체적 선택에 기반한 소통 또는 사랑이라는 문제의 지난함을 지적하는 그의 .. 더보기
성과급제도에 대한 이런저런 연구 결과들 모음. 성과급제도에 대한 이런저런 연구 결과들 모음. 1. [유종일(KDI 교수)의 경제 새판짜기]여유와 안정이 혁신의 토대다 핀란드는 학업성취도가 최고 수준이면서도 학습시간이 매우 짧고 과제와 시험의 압박이 거의 없다. 마이클 무어의 영상으로도 소개된 것처럼 핀란드의 학교는 점심시간을 포함해서 일주일 수업시간이 겨우 20시간이다. 수업을 그렇게 조금 하면 학생들이 언제 배우냐는 질문에 선생님은 “뇌가 휴식하지 못하고 계속 일하고 있으면 도대체 어떻게 배우냐”고 되묻는다. 지식을 욱여넣는 공부와 달리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참된 배움은 여유로움과 자유로움 가운데 즐길 때 얻어지는 것이다. 핀란드의 학교는 또한 과제가 거의 없고 표준화된 시험이 전혀 없다. 핀란드에서 학교는 공부를 강요하고 압박하는 곳이.. 더보기
교사의 정치기본권과 교육자치제 김** 선생님과 배** 선생님 그리고 교사의 정치기본권과 교육자치제 1. 김** 선생님 그리고 교사의 정치 기본권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이라는 수사는 개발독재라는 파시즘의 산물입니다. 교사가 정치적으로 가장 많이 동원된 시절이 박정희 시절입니다. 유신헌법을 설명하러 다니느라 교실을 팽개치도록 강요 받아온 시절을 과거는 분명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전교조의 출범에는 그런 상흔이 역력히 각인되어있습니다.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이라는 수사 자체가 가장 정치적으로 오염된 언어입니다. ‘가장 중립적이라는 수학적 지식도 정치적 가치판단이나 개인의 정서적 영향으로 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것은 현대의 지식에 대한 상식화된 통찰입니다. 그래서 문제는 ‘정치적중립’이 아니라 가치판단에 근거한 바람직한 ‘정치적개입’입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