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문학적 성찰능력이란 무엇일까?
'김영민 빠'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몸의 습관에 대한 성찰능력이라고 말해야겠다.
몸의 기울기를 살피고, 몸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상태에 도달했다면, 체계에 휘둘리지 않은 자기배려를 할 줄 아는 사람이다.
이런 기준에 비추어 본다면, 나는 내 몸의 기울기는 살필줄 아는 것 같다.
그러나 몸의 기울기를 조정할 능력은 없다.
여전히 몸의 습에 번번히 굴복하는데, 특히 술에 대해서는 할말이 눈꼼만큼도 없다.
내 삶에서 이걸 극복할 날이 오기는 할까?
몸을 다른 관계들에 배치한다면 어떨까?
이런 생각은 아마도 내가 보지 못하는 더 큰 내 습의 하나일까?
'김영민 빠'의 관점에서 말하자면, 몸의 습관에 대한 성찰능력이라고 말해야겠다.
몸의 기울기를 살피고, 몸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상태에 도달했다면, 체계에 휘둘리지 않은 자기배려를 할 줄 아는 사람이다.
이런 기준에 비추어 본다면, 나는 내 몸의 기울기는 살필줄 아는 것 같다.
그러나 몸의 기울기를 조정할 능력은 없다.
여전히 몸의 습에 번번히 굴복하는데, 특히 술에 대해서는 할말이 눈꼼만큼도 없다.
내 삶에서 이걸 극복할 날이 오기는 할까?
몸을 다른 관계들에 배치한다면 어떨까?
이런 생각은 아마도 내가 보지 못하는 더 큰 내 습의 하나일까?